본문 바로가기
IT

스마트폰의 숨겨진 기능 - 스마트폰 수신감도 신호 RSRP

by 그라마토필름 2022. 8. 11.
반응형

오늘은 스마트폰의 숨겨진 기능 중 하나를 공개할까 한다.
누구나 한번쯤은 통화 시 나는 잘 들리는데 상대방에서 잘 안 들린다고 할 때가 있을 것이다.
이때는 스마트폰의 수신감도가 좋지 않아서이다. 스마트폰의 수신감도를 좋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 물론 가능하다.
오늘은 바로 스마트폰 수신감도 신호인 RSRP에 대해서 포스팅하겠다.

스마트폰에서 빨간색 원안에 안테나 표시는 스마트폰의 수신감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우리는 시외 지역을 나가거나 건물 지하에 있을 때 엘리베이터 안에 탑승해 있을때 안테나 표시가 줄어들어 통화 품질이 떨어진 경험을 해보았을 것이다.
이럴 때는 가만히 있지 말고.... 전화기의 *123456#을 눌러보자!


*123456#을 누르면 오른쪽 사진처럼 Debug Screen이라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화면을 나타내는... 무언가 엄청 복잡한데 다른 것은 볼 필요 없고 딱 한 가지만 보면 된다.

바로 RSRP만 보면 된다. 그럼 RSRP란 무엇인가?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로 현재 내 폰의 수신감도를 나타내 주는 것이다. 사진의 RSRP는 -97로 나타나 있다. RSRP의 수치는 다음과 같다.

수치 내용
-40 ~ -80 신호강도 아주 좋음
-81 ~ -89 신호강도 좋음
-90 ~ -99 신호강도 보통(평균)
-100 ~ -109 신호강도 좋지 않음
-100 이상 신호강도 아주 좋지 않음(통화 불가능 상태)


그럼 RSRP의 수치가 안 좋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럴 때는 수신감도 자가 체크 방법이 있다.

첫 번째, 같은 통신사의 스마트폰과 비교하는 게 가장 쉽다. 같은 장소, 같은 통신사 인 데도 RSRP 수치가 크게 차이가 난다면 대부분은 통신 문제라기보다, 오래된 U-SIM 또는 스마트폰 단말기 자체에 문제가 있을 확률이 높다. 이럴 때는 바로 서비스 센터에 가면 된다. 혹시 수신 부분에 문제가 발생되면 고객 귀책이 아닌 이상 무상으로 수리를 해준다.

두 번째, 평소에는 신호 강도가 좋다가 어느장소만 가게 되면 신호강도가 안 좋게 나오면... KT는 KT, SKT는 SKT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해당 위치에 중계기를 설치해달라고 요청하면 된다. 그러면 지하면 지한 집이면 집, 웬만한 곳에는 설치를 해준다.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한데, 중계기 설치는 통신사에서 서비스 품질 보장 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이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나 중계기 비용을 청구하지 않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