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lants/식물 소개 및 식물 분양

식물과 친해지는 방법 episode 12. - 식물에서 볼 수 있는 병충해 첫 시간.(정원이나 텃밭에서 볼 수 있는 병충해)

by 그라마토필름 2022. 9. 20.
반응형

식물을 키우면서 입는 병충해는 어떤 것이 있을까? 병충해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곰팡이·세균·바이러스에 의한 전염성 병해와 풍해·수분 부족 등에 의한 비전염성 병해, 해충에 의한 충해가 있다. 병충해를 입기 전 관리를 잘하여 피해를 막는 것이 최고의 방법이지만, 해충이나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에 의한 병은 사전예방에 큰 어려움이 따른다. 농약을 통해 병충해에 의한 피해를 방지, 치료할 수 있지만 농약은 독성의 잔류가 우려되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병충해가 잘 일어나는 시기와 조건을 사전에 파악하여 조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

 

정원에서 볼 수 있는 병충해와 실내나 온실에서 생기는 병충해가 상이하여 시간을 나누어, 오늘 시간은 정원에서 볼 수 있는 병충해에 대해 알아보겠다.

 

 

" 식물에게서 병충해가 생기는 경우


- 전염성 병 :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에 의하여 생길 수 있으며, 이러한 병해는 전염성이 있어 하나의 식물에서 발견되면 주위 식물에게 급속하게 퍼진다.

- 비전염성 병 : 풍해, 수분 부족,  고온, 대기오염 등에 의해 병이 생기게 된다.

비전염성 병해의 경우는 대부분 관리 문제로 발생하게 되며, 화분이나 온실에서 발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특정 시기 없이 아무때나 발생할 수 있으니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 해충 : 곤충에 의해 섭식, 충영 등의 피해를 입게된다.

 

 

" 정원에서 볼 수 있는 병충해들


▣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에 의하여 생기는 전염성 병충해

-. 흰 가루병

병충해 시기 - 대략 8월 ~ 10월 경

병충해 증상 - 장마철 이후부터 발생되며 잎 표면과 뒷면에 백색의 반점이 발생하며 점차 확대되어 가을에는 잎을 하얗게 덮는다. 성장에 영향을 주며 그을음병에 원인이다.

흰가루병

-. 탄저병

병충해 시기 - 대략 5월 ~ 9월 경

병충해 증상 - 잎 가장자리가 마르다 회갈색의 불규칙한 반점이 형성되어 표면에 흑색의 작은 돌기가 형성된다. 잎이 검은색으로 말라 죽고 열매 등에 피해를 준다.

탄저병

-. 갈색무늬병

병충해의 시기 - 대략 6월 ~7월 경

병충해의 증상 - 활엽수 식물에서 흔히 관찰되며 처음엔 작은 갈색 점무늬로 나타나 점차 크기가 커져 불규칙하게 변하여 아래의 면은 평평하지만 윗면은 볼록하게 만든다.

-. 잎 떨림병

병충해의 시기 - 대략 4월 ~ 6월 경

병충해의 증상 - 식물에 작년까지의 잎을 모두 낙엽이 지고, 낙엽에 흑갈색의 원형 돌기가 생겨난다.

-. 빗자루병

병충해의 시기 - 대략 4월 ~ 7월 경

병충해의 증상 - 작은 가지가 많이 발생하여 가지가 많이 무거워져 처지게 된다. 처진 가지에서는 꽃이 피지 않고 열매 또한 맺지 않게 된다.

 

▣ 해충에 의한 병충해

-. 애벌레에 의한 섭식 피해(식물을 뜯어먹는 피해)

1. 자나방 애벌레(자벌레) : 잎을 뜯어먹는다. 애벌레가 많아지면 잎이 없어지며 가지만 남게 된다.

2. 회양목명나방 애벌레 : 애벌레가 거미줄을 토하여 잎을 묶어 그 속에서 잎을 갉아먹는다. 피해를 입은 나무는 거미줄이 많이 끼어 있다. 

-. 매개충에 의한 피해

1. 소나무 재선충 : 솔수염 하늘소에 의해 감염되면 여름 이후 침엽이 급격하게 처지며 마르고 송진이 나오지 않으며 고사한다.

2. 참나무시들음병 : 광릉긴나무좀에 의하여 감염되며 침입 구멍 주변에 나무 가루가 쌓이고 알코올 냄새가 난다.

3. 도토리 거위벌레 : 도토리에 주둥이로 구멍을 뚫고 산란 후 도토리가 달린 가지를 주둥이로 잘라 땅으로 떨어트린다.

여름에 도토리가 달린 참나무의 가지가 많이 떨어져 있다면 토토리 거위벌레의 피해이다.

 

반응형